투자노트

[투자노트]아마존과 비교해본 쿠팡, 현재 주가는 적절할까?

GamerTech 2025. 2. 12. 15:25

 쿠팡과 아마존을 비교 분석하여, 쿠팡의 가치 평가와 주가의 적절성을 평가해보자.


쿠팡 vs 아마존 - 기본 정보

쿠팡 (CPNG) 아마존 (AMZN)

구분 쿠팡 (CPNG) 아마존 (AMZN)
시가총액 44조 원 (약 331억 달러)
2,695조 원 (약 2.03조 달러)
2023년 매출 30조 원 (약 220억 달러)
761조 원 (약 5,740억 달러)
주요 사업 이커머스, 로켓배송, 쿠팡이츠, 광고, 핀테크(쿠팡페이)
이커머스, AWS(클라우드), 광고, 스트리밍(Amazon Prime)
매출 성장률 약 25~30% 약 12~15%
영업이익률 1~2%
6~8% (AWS 포함 시 10% 이상)
PER (주가수익비율) 41.59배 (포워드 64배)
42.09배 (포워드 36배)

 PER의 경우 두 회사의 수치가 비슷하여 쿠팡의 주가가 적절한가...? 싶지만 쿠팡에는 AWS와 같은 서비스가 없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쿠팡의 주가는 다소 높게 평가되고 있다고 봐야함. 다만 매출 성장률의 경우에는 쿠팡이 더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는데 미래의 성장률이 반영되었다고도 볼 수 있겠다. 

 

핵심 사업 비교

📌 이커머스

  • 아마존: 북미와 글로벌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40% 이상)**을 차지. 프라임 멤버십과 물류 자동화로 높은 수익성을 유지.
  • 쿠팡: 한국 내 점유율 1위(30% 이상)로 안정적이지만, 아직 해외 진출(대만·일본)은 초기 단계.

이커머스 시장에서 아마존은 글로벌 공룡, 쿠팡은 한국 내 1위 플레이어.

 

📌 클라우드 (AWS vs 쿠팡클라우드)

  • AWS(Amazon Web Services): 아마존 전체 영업이익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사업.
  • 쿠팡: 쿠팡클라우드라는 자체 데이터 인프라를 갖췄지만 AWS 같은 B2B 클라우드 서비스는 없음.

AWS는 아마존의 강력한 캐시카우지만, 쿠팡은 이에 대한 대안이 없음.

 

📌 광고 비즈니스

  • 아마존: 자체 광고 플랫폼으로 연간 50조 원 이상 매출 발생. 광고 매출만 놓고 보면 메타·구글 다음으로 큼.
  • 쿠팡: 최근 광고 사업 확대 중이지만 아직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함.

광고 매출도 아마존이 훨씬 크고 수익성이 좋음.

 

AWS (Amazon Web Services)란? ☁️🚀

AWS(Amazon Web Services)는 아마존이 제공하는 세계 최대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기업, 스타트업, 정부 기관, 개인 개발자까지 다양한 고객들이 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AI, 머신러닝, 보안 등 IT 인프라를 필요할 때마다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지. 약간 쌈마이 설명을 넣자면 디지털 부동산 사업이랑 비슷할지도? 예전에는 뭐 할라치면 서버 구축을 위한 하드웨어 설비비가 필요했는데, AWS를 이용하면 내가 직접 서버를 구축할 필요가 없고 월 비용 @@원 지불하면 되는 형태. 


AWS의 핵심 특징

클라우드 컴퓨팅 1위 🏆
AWS는 전 세계 클라우드 시장에서 점유율 30% 이상을 차지하는 압도적인 1위 서비스. 마이크로소프트의 Azure, 구글의 GCP보다 시장을 선점했고, 현재도 가장 많은 고객을 보유하고 있어.

서버 없이 IT 인프라 구축 가능 🏗️
과거에는 기업이 자체 서버를 구축하고 유지해야 했지만, AWS를 사용하면 필요한 만큼의 IT 자원을 임대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 덕분에 초기 비용 부담을 줄이고, 서비스 확장도 빠르게 할 수 있음.

100개 이상의 다양한 서비스 제공 🔧
AWS는 단순한 서버 임대가 아니라 AI, 빅데이터 분석, 보안, 스토리지, IoT, 게임 서버, 영상 처리 등 100개 이상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기업들은 AWS를 활용해 효율적으로 IT 환경을 운영 가능.

아마존의 캐시카우 💰
AWS는 아마존 전체 매출에서 약 14% 비중을 차지하지만, 영업이익의 50% 이상을 책임지는 핵심 사업. 즉, AWS가 아마존의 가장 중요한 돈줄 역할


투자 관점에서 비교

📌 쿠팡 투자 매력

✅ 한국 내 독점적 시장 지위 유지 (이커머스 1위)
✅ 지속적인 매출 성장 (25~30%)
✅ 마진 개선 중 (영업이익 흑자 전환 성공)

 

🚨 다만, AWS 같은 수익성 높은 캐시카우가 없고, 성장 기대감이 과도할 가능성 있음.

 

📌 아마존 투자 매력

✅ AWS가 압도적인 수익성을 제공 (영업이익 50%+)
✅ 이커머스, 광고, 핀테크 등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 보유
✅ 안정적인 글로벌 시장 점유율 (특히 북미 & 유럽)

 

🚨 하지만, PER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며, 글로벌 경기 둔화 시 영향 받을 가능성 있음.

 

최종 결론

1️⃣ "성장성 높은 이커머스"에 투자하고 싶다면? → 쿠팡

  • 한국 내 점유율 1위 & 빠른 성장
  • 하지만 마진 구조가 여전히 약함
  • 해외 진출이 빠르지 않은 상황에서, 모든 쿠팡의 블루프린트대로 사업이 진행된다 할지라도 내수 경제라는 규모의 한계 때문에 성장성 제약 있을지도 

2️⃣ "안정적인 글로벌 플랫폼"을 원한다면? → 아마존

  • AWS & 광고 사업 덕분에 강력한 수익성
  • 이커머스 시장에서도 여전히 최강자

💡 쿠팡은 한국 이커머스 시장의 성장성을 보고 투자하는 것, 아마존은 글로벌 테크 플랫폼의 안정성과 AWS의 수익성을 보고 투자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