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노트 4

[투자노트] 급락한 나스닥,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트럼프 리스크가 이어지면서 월요일 새벽 주가가 폭락한 상황이다.특히 경기 침체에 대한 베팅이 늘기 시작하면서 모든 지표가 박살나게 됨. 심지어 러셀2000까지.   엔비디아는 장중 105를 터치하고 있는 상황으로, 이전 9월 수준까지 주가가 복귀해버림  주가 조정이 워낙 확실하게 일어나면서 포워드 PER기준 이제 18.55, 나스닥 기술주의 역사적 저점 수준까지 온 상황. 대략 포워드 PER 20 언더 나스닥 기술주를 중심으로 매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겠다 싶다.  지난 밤, 엔비디아를 중심으로 매수를 했으나 주가는 계속 빠진 상황.  추가로 매수하던 노보 노디스크는 임상 결과가 기대치를 밑돈다는 뉴스로 인해 폭락, 좋지 못한 타이밍에 매수했던 대가를 치르고 있는 상황이다. 마찬가지로 1주 추가 매수했으..

투자노트 2025.03.11

[투자노트] 배째라고 하면 배째러 몰려가는게 인지상정

메리츠금융지주 매도(+18%) 메리츠는 25.3.7에 매각. 사실 이평선 이탈이나 큰 이슈는 없지만 왠지 매각하고 싶었다. 팔고 나서 내 결정에 대한 분석을 사후로 해보자면 1. 홈플러스 이슈2. 오늘 너무 떨어짐 으로 생각됨 .   메리츠는 홈플러스에 선순위 대출로 1조 2천억을 대출해준 상황임, 이 돈이 떼일까봐 오늘 주가가 떨어진 것으로 보임. 근데 문제는 해당 이슈가 처음 나온 것은 3월 4일, 이제 와서 해당 이슈로 떨어졌다고 하기엔 좀 애매한 상황  어차피 홈플러스의 모든 부동산을 담보로 한 대출이라, 해당 대출의 상환에는 문제가 없을 것, 그래서 아마 메리츠에게 직접적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임. (부동산의 가치가 5조원이라고) 메리츠 측에서도 상환에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고 본 듯.  오늘 너..

투자노트 2025.03.07

[투자노트]팔란티어(Palantir), 혁신적인 기업이지만 지금 투자해도 될까?

팔란티어는 단순한 데이터 저장 회사가 아니다. "데이터에 의미를 부여하는 일"을 한다. 즉, 데이터를 단순히 모으는 것이 아니라, 기업과 정부가 실질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AI 학습이 가능하게 정리하고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팔란티어는 직접 직원을 파견하여 맞춤형 분석을 지원하고, 장기 계약을 유지하는 특이한 방식으로 운영되는 기업이다. 그렇다면, 현재 팔란티어는 투자 가치가 있을까? ✅ 팔란티어의 최근 실적과 현재 밸류에이션2024년 4분기 매출 8.28억 달러 기록 (전년 대비 36% 성장)영업이익률 45%2025년 예상 매출: 37억 5,000만 달러 (분석가 컨센서스보다 높음)AI 수요 증가로 인해 지속적인 실적 개선 전망하지만 현재 PER 600배 수준 → 지나치게 비싼 밸류에이..

투자노트 2025.02.19

[투자노트]아마존과 비교해본 쿠팡, 현재 주가는 적절할까?

쿠팡과 아마존을 비교 분석하여, 쿠팡의 가치 평가와 주가의 적절성을 평가해보자.쿠팡 vs 아마존 - 기본 정보쿠팡 (CPNG) 아마존 (AMZN)구분쿠팡 (CPNG)아마존 (AMZN)시가총액44조 원 (약 331억 달러)2,695조 원 (약 2.03조 달러)2023년 매출30조 원 (약 220억 달러)761조 원 (약 5,740억 달러)주요 사업이커머스, 로켓배송, 쿠팡이츠, 광고, 핀테크(쿠팡페이)이커머스, AWS(클라우드), 광고, 스트리밍(Amazon Prime)매출 성장률약 25~30%약 12~15%영업이익률1~2%6~8% (AWS 포함 시 10% 이상)PER (주가수익비율)41.59배 (포워드 64배)42.09배 (포워드 36배) PER의 경우 두 회사의 수치가 비슷하여 쿠팡의 주가가 적절한가...

투자노트 2025.02.12